반응형
지식재산학 학점 은행제 과목 중 2학기 전공 필수 과목인 '저자권법' 과목의 토론 과제를 수행해보자.
참고로 본 토론 과제는 2024년에 진행한 토론 과제이다.
어떻게 의견을 진행하면 좋을지 참고만 하도록 하자.
목차
토론 과제 주제
토론 과제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주제 : 상표의 유사판단시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이 무엇인지 토론하시오.
요부(要部)란?
디자인의 침해성을 판단하는 대원칙은 전체 관찰이지만 디자인의 부분 중에 기억과 연상을 남기는, 즉 눈에 띄는 부분을 요부하고 한다.
단, 기능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인 형상은 제외한다.
내용 전개하기
-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의 역할이 무엇인지 정의한다.
-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의 공통점을 2~3가지 측면에서 기술한다.
-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의 차이점을 2~3가지 측면에서 기술한다.
공통점 -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
상표의 유사판단에서 전체관찰과 요부관찰은 각각의 접근 방식이 다르지만, 상표의 유사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먼저 공통점은 아래의 3가지를 포함합니다.
공통점 ① : 목적
목적 : 두 방법 모두 상표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소비자 혼동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공통점 ② : 법적 기준
법적 기준 : 두 방식 모두 상표법에서 정해진 법적 기준에 따라 유사성을 판단합니다.
공통점 ③ : 소비자 관점
소비자 관점 : 소비자의 인식과 기억을 중시하며, 소비자가 상표를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고려합니다.
차이점 -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
크게 관찰 방식과 적용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차이점 ① : 관찰 방식
구분 | 관찰 방식 |
전체 관찰 | 상표를 전체적으로 보고, 전체적인 인상이나 느낌을 바탕으로 유사성을 판단합니다. 즉, 상표의 디자인, 문자, 색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
요부 관찰 | 특정 요소나 특징(요부)에 집중하여 유사성을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상표의 주요 부분이나 독특한 요소만을 고려하여 비교합니다. |
차이점 ② : 적용 상황
구분 | 적용 상황 |
전체 관찰 | 복잡한 상표나 다양한 요소가 포함된 경우에 더 적합합니다. 전체적인 조화나 디자인을 평가할 때 유용합니다. 전체관찰은 상표의 종합적인 인상을 중시하기 때문에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요부 관찰 | 특정한 차별점이나 독창적인 요소가 있는 경우에 유리합니다. 특히, 상표의 특정 부분이 소비자에게 더 인식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특정 요소에 집중하므로 그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해함으로써 상표 유사성 판단의 다양한 측면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식 재산학의 토론과제는 비중이 높지는 않지만,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측면에서 재미있는 과제입니다.
모두들 화이팅!

반응형
'▶ 지식재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론 과제 : 연구개발과 지식재산 (2024년 2학기 전공 필수) (0) | 2025.04.03 |
---|---|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지식재산권 : 저작권의 특징과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0) | 2024.06.24 |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지식재산권 : 저작권의 개념 (1) | 2024.06.10 |
지식재산학 학점은행 : 지식 재산 심판 소송 실무 (0) | 2024.06.07 |
지식재산학 : 학문적 목표 (0)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