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식재산학

토론 과제 : 상표법 (2024년 2학기 전공 필수)

by my-lemon 2025. 4. 3.
반응형

 

 

 

지식재산학 학점 은행제 과목 중 2학기 전공 필수 과목인 '저자권법' 과목의 토론 과제를 수행해보자.

 

참고로 본 토론 과제는 2024년에 진행한 토론 과제이다.

 

어떻게 의견을 진행하면 좋을지 참고만 하도록 하자.

 

 

목차

     

    토론 과제 주제

    토론 과제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주제 : 상표의 유사판단시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이 무엇인지 토론하시오.

     

    요부(要部)란?

     디자인의 침해성을 판단하는 대원칙은 전체 관찰이지만 디자인의 부분 중에 기억과 연상을 남기는, 즉 눈에 띄는 부분을 요부하고 한다.

     단, 기능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인 형상은 제외한다.


    내용 전개하기

    1.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의 역할이 무엇인지 정의한다.
    2.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의 공통점을 2~3가지 측면에서 기술한다.
    3.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의 차이점을 2~3가지 측면에서 기술한다.

     


    공통점 -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

     상표의 유사판단에서 전체관찰과 요부관찰은 각각의 접근 방식이 다르지만, 상표의 유사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먼저 공통점은 아래의 3가지를 포함합니다.

     

    공통점 ① : 목적

    목적 : 두 방법 모두 상표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소비자 혼동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공통점 ② : 법적 기준

    법적 기준 : 두 방식 모두 상표법에서 정해진 법적 기준에 따라 유사성을 판단합니다.

     

    공통점 ③ : 소비자 관점

    소비자 관점 : 소비자의 인식과 기억을 중시하며, 소비자가 상표를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고려합니다.


    차이점 - 전체 관찰과 요부 관찰

    크게 관찰 방식과 적용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차이점 ① : 관찰 방식

    구분 관찰 방식
    전체 관찰 상표를 전체적으로 보고, 전체적인 인상이나 느낌을 바탕으로 유사성을 판단합니다.
    즉, 상표의 디자인, 문자, 색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요부 관찰 특정 요소나 특징(요부)에 집중하여 유사성을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상표의 주요 부분이나 독특한 요소만을 고려하여 비교합니다.

     

     

    차이점 ② : 적용 상황

    구분 적용 상황
    전체 관찰 복잡한 상표나 다양한 요소가 포함된 경우에 더 적합합니다.
    전체적인 조화나 디자인을 평가할 때 유용합니다.
    전체관찰은 상표의 종합적인 인상을 중시하기 때문에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부 관찰 특정한 차별점이나 독창적인 요소가 있는 경우에 유리합니다.
    특히, 상표의 특정 부분이 소비자에게 더 인식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특정 요소에 집중하므로 그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해함으로써 상표 유사성 판단의 다양한 측면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식 재산학의 토론과제는 비중이 높지는 않지만,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측면에서 재미있는 과제입니다.

     

    모두들 화이팅!

    반응형